[자바, Java] 객체지향 설계 - 계층을 넘어갈 땐, getter와 setter 대신 DTO
getter 와 setter 는 왜 지양해야 하는가??
- 1. 객체지향 설계에서 getter와 setter 사용을 왜 지양해야 하는가??
- 2. 그래도 getter 는 써야할 때가 있다.
- 3. 계층간 데이터 전달은 왜 굳이 DTO 를 사용해야 하는가??
- 4. DTO 는 무엇인가??
- 5. 단, 도메인은 DTO 를 알면 안된다.
- 6. DTO 실사용 예제
난 국비학원에서 처음 코딩을 접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알다시피 국비학원은 객체지향 설계같은거 신경조차 쓰지 않는다.
분명 Java 라는 객체지향 언어로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코드를 짜는 것을 보면 절차지향 언어와 다를바가 없다.
심지어 절차지향 언어보다 더 하드코딩이 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현재 nextstep에서 미션을 진행하고 있는데, 여기서 공부한 내용들을 점진적으로 글로 작성해보려 한다.
피드백 받은 내용과 공부하면서 스스로 깨달은 것들에 대해서 같이 정리해보고자 한다.
1. 객체지향 설계에서 getter와 setter 사용을 왜 지양해야 하는가??
- 캡슐화가 깨져버린다.
- 물론 getter 로 꺼낸다고 해서 무조건 객체의 변경까지 가능한 것은 아니다
- 그러나 그 꺼낸 값이 원시값이 아닌 객체라면 위험해진다.
- getter 의 반환값으로 도메인 관련 객체가 나오게 된다면, setter 또는 다른 메서드로 그 객체의 상태를 변경시켜버릴 수 있다.
- getter 메서드의 사용을 남발하는 안좋은 습관을 만들 이유가 없다.
- getter 와 setter 를 사용을 할 수록, 하드코딩이 된다.
- 해당 객체에 메시지 하나만 보내면 끝날 일을, 왜 굳이 꺼내서(getter) 변경 시킨다음 다시 집어넣으려고(setter) 하는가??
- 전혀 객체지향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코드를 보면 바로 느껴지게 되어있다.
2. 그래도 getter 는 써야할 때가 있다.
- setter 는 무슨일이 있어도 사용을 금기시한다.
- 캡슐화는 개나주고 객체를 마음대로 변경시켜버리는 무시무시한 메서드이다.
- 그래도 getter 는 쓸 일이 있다. 이유는??
- service, controller, view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내야 할 때, 어차피 한 번은 써야한다.
- 안 그러면 데이터를 꺼내서 전달해 줄 방법이 없다.
- 그렇다면 getter 는 언제 쓸까??
- 다른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할 때, DTO 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 controller 나 service 계층에서, DTO 생성자 매개변수로 도메인 객체를 바로 넣어주면서 DTO를 생성한다.
- DTO 안에서 생성자가 도메인 객체의 getter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꺼내고, 그 데이터를 DTO 에 저장한다.
- 해당 DTO 를 다른 계층으로 전달한다.
- 전달 받은 계층에서 DTO 의 getter 를 통해 데이터를 꺼낸다.
- 도메인간 데이터 전달 목적으로 사용한다.
- 도메인간 데이터 이동은 어차피 다른 계층을 넘나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getter 를 통해 전달 받아도 크게 상관없다.
- 단, 남발하거나 getter 를 통해 객체가 마음대로 변형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 다른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자 할 때, DTO 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3. 계층간 데이터 전달은 왜 굳이 DTO 를 사용해야 하는가??
- 캡슐화를 지키기 위함이다.
- 다른 계층인 Controller, Service, View 계층 같은 곳에서 도메인 객체를 알고 있다면, 의도치 않은 혹은 의도한 도메인 객체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 그래서 객체의 데이터만을 전달만을 목적으로 갖는 DTO 를 통해 전달한다.
- 그러면 도메인 객체의 멤버 정보들은 전혀 모르게 되면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 물론 DTO 에서도 데이터 저장은, setter 가 아닌 생성자를 통해서 해야 한다.
- setter 는 모든 악의 근원이다…ㅋ
4. DTO 는 무엇인가??
Data Transfer Object : 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DTO는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getter & setter 만 가진 클래스)다.
현재 nextstep 을 통해 자바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땐 setter 를 넣어주지 않지만,
스프링에선 자동으로 getter 와 setter 를 통해 DB와 다른 계층 간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5. 단, 도메인은 DTO 를 알면 안된다.
내가 nextstep 을 통해 가장 많은 피드백을 받은 부분이 바로 이 부분이었다.
내가 처음에 DTO 를 썼던 방식을 간단한 예제로 보여주겠다.
public class Car { String carName; public Car(String carName) { this.carName = carName; } public CarDTO getCarInformation() { return new CarDTO(carName); } }
위 예제는 핵심 도메인 객체 중 하나인 Car 객체라 가정해보자.
- 다른 계층에서 Car 의 information 메서드를 통해 DTO 를 반환받는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선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될까??
- 다른 계층에서 도메인 객체를 모르도록 최대한으로 조치를 취하지 못한다.
- 도메인과 DTO 의 의존성이 생겨버린다.
- 나중에 요구사항의 변경 또는 다양한 형태의 여러 API 에서 도메인을 받아올 때, 상호간의 유지보수가 굉장히 힘들어지게 된다.
그래서 피드백을 받은 후, 현재 내가 사용하는 DTO 의 용법을 밑의 예제에서 살펴보겠다.
6. DTO 실사용 예제
public class PlayerDTO { private final String playerName; private final List<Frame> frames; public PlayerDTO(final Player player) { final PlayerName playerName = player.getPlayerName(); this.playerName = playerName.getPlayerName(); final Frames frames = player.getFrames(); this.frames = frames.getFrames(); } public String getPlayerName() { return playerName; } public List<Frame> getFrames() { return Collections.unmodifiableList(frames); } }
현재 내가 nextstep 의 사다리 게임 구현한 부분 중 하나의 DTO 를 가져온 것이다.
아까 말했듯, setter 가 아닌 생성자를 통해 DTO 에 저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public class Bowling { public void run() { ... 생략 ResultView.printPlayerFramesDisplay(new PlayerDTO(player)); ... 생략 } }
컨트롤러에서 도메인의 정보를 DTO 생성자를 통해 View 계층으로 전달하는 모습이다.
public class ResultView { ... 생략 public static void printPlayerFramesDisplay(final PlayerDTO playerDTO) { System.out.println(BOARD_BASE_DISPLAY); System.out.println(getPlayerResultDisplayFormat(playerDTO)); } private static String getPlayerResultDisplayFormat(final PlayerDTO playerDTO) { return IntStream.range(0, 10) .mapToObj(index -> getFrameDisplayFormat(playerDTO.getFrames(), index)) .collect(Collectors.joining(DELIMITER, DELIMITER + parseFrameDisplayPrintFormat(playerDTO.getPlayerName()) + DELIMITER, DELIMITER)); } ... 생략 }
ResultView (view 계층) 에서 DTO 의 getter 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받고,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객체지향 설계, TDD 학습은 언제나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