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테크 코스 5기 프리코스 - 4주차 회고

프리코스 마무리



우테코 프리코스 4주의 기간동안 정말 많은 것을 배웠다.

물론 1:1 피드백 없이 주마다 공통 피드백만 받으면서 진행했다.

하지만 ‘토론과 피어리뷰’를 통해 ‘미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부분’과 ‘더 클래스를 분리할 수 있는 부분’,

‘막연하게만 생각했던 개념들의 구체화’, ‘도메인을 설계하는 과정’ 등등

너무나 많은 부분에서 배우고 실력을 더 올릴 수 있었다.

이런 귀한 계기를 제공해준 우테코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디테일한 부분까지 회고하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 몇가지만 정리해보려 한다.


1. 상태 패턴으로 분리하면서 체감하게 된 이점

이번 4주차에선 3주차와 마찬가지로 클래스 분리에 더 초점을 맞춘 요구사항들이 들어왔다. 그런 만큼 클래스를 분리해보기 위해 많이 살펴보고 시도를 했었고, 그 과정에서 얻은 경험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그 중 1가지가 상태 패턴(인터페이스) 추출이다.

처음 4차 미션의 요구사항을 봤을 때, 수많은 if문이 필요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이동하는 상태의 종류’와 ‘게임 종료 조건’이 여러 가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대한 if문을 줄이기 위해, 다리를 건너는 과정을 상태 패턴을 적용하여 설계했다.

diagram01

public interface MovingResultState {
    MovingResultState move(final int positionToMove, final String moving);
    
    boolean isMoveFailed();
    
    boolean isGameFinished(final int numberOfMoves);
    
    String moving();
}
public abstract class Started implements MovingResultState {
    private final Bridge bridge;
    
    Started(final Bridge bridge) {
        this.bridge = bridge;
    }
    
    public Bridge bridge() {
        return bridge;
    }
}
public abstract class MovingComplete extends Started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OVE_NOT_AVAILABLE = "[ERROR] 이미 다음 위치로 이동이 끝난 상황입니다.";
    
    private final String moving;
    
    MovingComplete(final Bridge bridge, final String moving) {
        super(bridge);
        this.moving = moving;
    }
    
    @Override
    public MovingResultState move(final int positionToMove, final String moving)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MOVE_NOT_AVAILABLE);
    }
    
    @Override
    public String moving() {
        return moving;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 {bridge => " + bridge() + "moving => " + moving + "} ";
    }
}
public class Ready extends Started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FAIL_CHECK_NOT_AVAILABLE = "[ERROR] 현재 상태에선 이동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private static final String GAME_END_CHECK_NOT_AVAILABLE = "[ERROR] 현재 상태에선 게임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private static final String MOVING_RETURN_NON_AVAILABLE = "[ERROR] 아직 이동하지 않아서 데이터가 없습니다.";
    
    public Ready(final Bridge bridge) {
        super(bridge);
    }
    
    @Override
    public MovingResultState move(final int positionToMove, final String moving) {
        if (isPartBridgeExist(positionToMove, moving)) {
            return new Success(bridge(), moving);
        }
        
        return new Fail(bridge(), moving);
    }
    
    private boolean isPartBridgeExist(final int positionToMove, final String moving) {
        return bridge().isPartBridgeExist(positionToMove, moving);
    }
    
    @Override
    public boolean isMoveFailed()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FAIL_CHECK_NOT_AVAILABLE);
    }
    
    @Override
    public boolean isGameFinished(final int numberOfMoves)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GAME_END_CHECK_NOT_AVAILABLE);
    }
    
    @Override
    public String moving()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MOVING_RETURN_NON_AVAILABLE);
    }
}
public class Success extends MovingComplete {
    public Success(final Bridge bridge, final String moving) {
        super(bridge, moving);
    }
    
    @Override
    public boolean isMoveFailed() {
        return false;
    }
    
    @Override
    public boolean isGameFinished(final int numberOfMoves) {
        return bridge().isSameWithBridgeSize(numberOfMoves);
    }
}
public class Fail extends MovingComplete {
    public Fail(final Bridge bridge, final String moving) {
        super(bridge, moving);
    }
    
    @Override
    public boolean isMoveFailed() {
        return true;
    }
    
    @Override
    public boolean isGameFinished(final int numberOfMoves) {
        return false;
    }
}


사실 이 부분에서 고민이 들었던 점은, Fail 상태일 땐 Bridge 인스턴스를 쓸 상황이 없는데, 쓸데없이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받아놓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Ready와 Success 에 따로따로 Bridge 를 갖고있게 하자니, 코드 중복이기에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이유로, 일단 Started 추상 클래스를 통해 전부 Bridge 를 갖고 있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지만 여전히 어떤 방식이 더 효율적일지 헷갈리는 부분인 것 같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기 위해, 일단 이 상태 인스턴스들을 이용하는 클래스를 살펴보자.

public class MovingResultStates {
    private final LinkedList<MovingResultState> movingResultStates;
    
    public MovingResultStates() {
        movingResultStates = new LinkedList<>();
    }
    
    public void move(final MovingDTO movingDTO, final Bridge bridge) {
        readyState(bridge);
        convertToNextState(movingDTO);
    }
    
    private void readyState(final Bridge bridge) {
        movingResultStates.add(new Ready(bridge));
    }
    
    private void convertToNextState(final MovingDTO movingDTO) {
        movingResultStates.set(statesLastIndex(), nextState(movingDTO));
    }
    
    private MovingResultState nextState(final MovingDTO movingDTO) {
        return lastState().move(statesLastIndex(), movingDTO.getMoving());
    }
    
    private int statesLastIndex() {
        return movingResultStates.size() - 1;
    }
    
    private MovingResultState lastState() {
        return movingResultStates.getLast();
    }
    
    public boolean isMoveFail() {
        return lastState().isMoveFailed();
    }
    
    public void initMovingResultStates() {
        movingResultStates.clear();
    }
    
    public boolean isGameFinished() {
        return !isStatesEmpty() && isAllSucceed();
    }
    
    private boolean isAllSucceed() {
        return lastState().isGameFinished(movingResultStates.size());
    }
    
    private boolean isStatesEmpty() {
        return movingResultStates.isEmpty();
    }
    
    public List<MovingResultState> states() {
        return Collections.unmodifiableList(movingResultStates);
    }
    
    public List<String> movings() {
        return movingResultStates.stream()
                .map(MovingResultState::moving)
                .collect(Collectors.toUnmodifiableList());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MoveResultStates{" +
                "states=" + movingResultStates +
                '}';
    }
}


이 예제를 보면서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한다. 상태 패턴(인터페이스)을 적용하면서 가장 체감했던 장점 2가지가 있다.

  1. if문 사용이 굉장히 적어짐

    만약 인터페이스를 추출하지 않았다면 if문을 몇 개나 써야 했을까?? 직접 if문으로 구현해본 적은 없지만, 최소한 3~4개는 더 써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동의 실패 vs 성공’, ‘바로 종료 vs 재시도 선택’ 등등 여러 가지를 판단하는 if문이 난무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예제에선 if문 사용 없이 이 조건들을 판단하는 로직을 무리없이 구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유는, 상태 패턴의 각 클래스들이 알아서 판단해서 다음 상태 인스턴스를 넘겨주고, 각 상태 클래스마다 메서드의 동작 방식이 알아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2. 가독성 향상

    사실 이 부분은 이번에 처음으로 체감한 부분이다. 다리 건너기를 성공(Success)했을 때와 실패(Fail)했을 때의 로직을, 따로따로 응집되어있는 클래스를 통해 살펴볼 수 있게 된다. 국비지원 학원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if문을 거리낌 없이 난무했을 때와 비교해보면, 코드를 파악할 수 있는 난이도가 천지차이다.

    그만큼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계기가 되었다.


2. enum 클래스로 분리하면서 얻은 이점

저번 3주차의 공통 피드백에서 이런 피드백이 들어있었다.

연관성이 있는 상수는 static final 대신 enum을 활용한다


사실 이 부분은 내가 지금까지 객체지향 설계를 해보면서 한 번도 시도한 적 없는 부분이다. 문자열들을 상수화를 통해 명확한 네이밍만 잘 해준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피드백을 보고, 이런 연관성이 있는 상수를 잘 묶어서 enum 으로 분리해 준다면, 이 또한 위의 상태 패턴 적용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if문과 같은 로직들을 개선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밑의 예제는 피드백을 적용해보기 위해, 연관성 있는 상수를 enum으로 추출한 모습이다.

public enum MoveResultDisplay {
    SUCCESS("성공", "O"),
    FAIL("실패", "X");
    
    private final String gameResult;
    private final String movingResult;
    
    MoveResultDisplay(final String gameResult, final String movingResult) {
        this.gameResult = gameResult;
        this.movingResult = movingResult;
    }
    
    public static List<MoveResultDisplay> convertToMoveResult(final List<MovingResultState> moveMovingResultStates) {
        return moveMovingResultStates.stream()
                .map(MoveResultDisplay::parseMoveResult)
                .collect(Collectors.toUnmodifiableList());
    }
    
    private static MoveResultDisplay parseMoveResult(final MovingResultState movingResultState) {
        if (isStateFailed(movingResultState)) {
            return FAIL;
        }
        
        return SUCCESS;
    }
    
    private static boolean isStateFailed(final MovingResultState movingResultState) {
        return movingResultState.isMoveFailed();
    }
    
    public String getGameResult() {
        return gameResult;
    }
    
    public String getMovingResult() {
        return movingResult;
    }
}


이를 통해 가장 득을 많이 본 클래스는 OutputView이다. 먼저 위 예제처럼 enum으로 상수를 추출하지 않았을 때의 코드를 보자.

public class OutputView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SUCCESS_MESSAGE = "성공";
    private static final String FAIL_MESSAGE = "실패";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LACES_TO_GO_DISPLAY = "O";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LACES_NOT_TO_GO_DISPLAY = "X";
    
    ... 생략
    
    private String parseMovingResultDisplay(final MoveResult moveResult) {
        if (moveResult.isSuccess()) {
            return PLACES_TO_GO_DISPLAY;
        }
        
        return PLACES_NOT_TO_GO_DISPLAY;
    }
    
    ... 생략
    
    private String whetherGameSuccess(final GameResultDTO gameResultDTO) {
        if (lastMovingResult(gameResultDTO).isSuccess()) {
            return SUCCESS_MESSAGE;
        }
        
        return FAIL_MESSAGE;
    }
    
    ... 생략
}


지금 설명하려는 부분과 관련 있는 메서드들만 가져와봤다. 이처럼 이전엔 if문을 통해 모든 것을 판단하면서 출력 문자열을 정해야했다. 하지만 enum 으로 출력 한 뒤의 밑의 예제에선 상수의 개수를 줄이고 if문 로직이 간결하게 개선된 모습을 볼 수 있다.

public class OutputView {
    
    ... 생략
    
    private String currentMovingResult(final GameResultDTO gameResultDTO, final int countOfMoving) {
        return currentMoveResult(gameResultDTO, countOfMoving).getMovingResult();
    }
    
    ... 생략
    
    private String whetherGameSuccess(final GameResultDTO gameResultDTO) {
        return lastMovingResult(gameResultDTO).getGameResult();
    }
    
    ... 생략
}

안그래도 상수의 개수가 굉장히 많고 메서드의 수도 많았던 클래스인데, enum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이전보다 더 깔끔하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예제에선 안 나타났지만, 잔여 효과로 이 외의 private 메서드들 중에서도 같이 줄어든 메서드들이 꽤 된다.

가시적인 효과를 정리해보자면, 모든 클래스에서 (테스트 코드 포함, 새로 생긴 메서드 개수만큼 빼고) 메서드가 5개, static final이 4개 줄었고, OutputView의 로직이 이전에 비해 if문이 많이 사라져서 굉장히 깔끔해졌다.


이제 모든 프리코스 과정이 끝났고 1차 합격자 발표까지 3주를 기다려야 한다. 그 3주동안 더 레벨업을 하기 위해, 지금까지 했던 미션들과 이전 기수들이 진행했던 미션들을 지금까지의 방식이 아닌 ‘책임 주도 설계’를 통해 설계 및 구현을 해볼 생각이다.





© 2021.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Hydejack----------

Jun's Development Blog